목록자바스크립트 개념 (21)
FrontEngineer JungBa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XiqQL/btrQZdupTAY/75oP4iCDojJfzVkflwIuHK/img.png)
함수 [프로그래밍 언어의 함수 : 일련의 과정을 문으로 구현하고 코드 블록으로 감싸서 하나의 실행단위로 정의한 것]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In 모던자바스크립트) 1. 코드의 재사용성 → 유지보수의 편의성 증가(모듈화) 2. 코드의 신뢰성을 증대 3. 코드의 가독성을 향상 ☞ 정의에서 말하는 실행단위라는 것은 정의하는 함수명으로 그 실행단위를 설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 + @@ 함수 내에서 작업하였을 때 좋은 점 4. 모듈화를 통한 정보은닉(캡슐화의 장점) ☞ 클로저를 통해 함수의 변수에 대한 캡슐화가 보장됨.(공식문서) 5. 코드의 생명주기를 부여함으로써 성능 향상(전역에서 작업하게 되었을 때에는 생명주기가 길어 성능면에서 떨어진다.) 6. 스코프 체인을 생각해봤을 때에 함수 안에서 선언하여 작업..
배열 여러 자료를 묶어서 활용할 수 있는 특수한 자료형태 일반적인 선언형태 const array = [10,20,30,40,50] 이때 배열 안에 있는 각각의 값을 요소라고 한다. 그리고 이들의 순서를 알려주는 값을 index라고 한다. 배열로 데이터를 받았을 때에 각각의 요소와 length를 확인하기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console.log()로 찍어보는 것이다. 사실 데이터를 받으면 거의 무조건 찍어본다...(눈으로 확인해야만 생각이 되는 수준) 배열함수 정리 ★ 배열함수에서 작업하면서 가장 신경쓰는 것은 1. 원본을 변경시키느냐 (※ 파괴적 처리 : 원본을 손상 / 비파괴적 처리 : 원본을 유지) 2. 반환시키는 값이 어떤 것이냐 shift() - 배열을 왼쪽으로 이동 / 첫번째 삭제 unshi..
1. 조건문의 종류 : if 조건문 / switch 조건문 switch 조건문은 단일 값 대상의 조건일 때에 사용하고 그 외에는 if문을 사용. 2. if 조건문 - if(조건문){①}else{②} 조건문이 맞으면 ①을 실행하고 그 외에는 ②를 실행해라. - 삼항 연산자 : 조건문? ① : ② 위의 if 조건문과 동일하다. - if(조건문1){①}else if(조건문2){②}else{③} 조건문 1이 맞으면 ①을 조건문2가 맞으면 ②를 그 외 ③을 실행해라. ※ 삼항 연산자로 만들 수 있으나 조건문이 두개 이상일 때에 삼항 연산자를 사용하면 직관적이지 못하게 되어 개인 프로젝트가 아니라면 지양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함. 3. switch 조건문 switch(자료){ case 조건A : ① break cas..
기본 자료형 1. 자료 : 프로그램이 처리할 수 있는 모든 것 → 자료형 : 자료 형태에 따라 나눠 놓은 것 2. 자료형의 종류 - 숫자 : 따옴표가 없이 숫자를 입력하면 숫자형으로 인식함. +, -, / , *(기본 사칙연산), %(나머지) - 문자열 : '(작은 따옴표)나 "(큰 따옴표)를 사용하여 선언 이스케이프 문자(|) : 문자열 안에서 따옴표나 |를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 ex) "|"" → 출력물 : " 문자열 연산자 - 문자열 + 문자열 : 두개의 문자열을 합침 * 만약 문자열 형태의 숫자를 숫자로 계산하고자 하면 문자열 앞에 +를 붙이던가 숫자형으로 변환하여 연산해야 함. - 문자열[index] : 문자열의 index 순서에 있는 문자를 가져옴 - 문자열 길이 구하기 : 문자열.lengt..
1. 표현식 : 값을 만들어 내는 간단한 코드 ex) const 10 2. 문장 : 하나 이상의 표현식이 모인 것 프로그램에서의 문장은 statement의 의미(선언) ☞ 코드 실행의 최소 단위 ex) if문, for문, try-catch문 등 3. 프로그램 : 여러 문장이 모인 것 4. 키워드 : JS가 만들어질 때 정해놓은 특별한 의미가 있는 단어들 → 이미 JS가 만들어질때 정의 되었기 때문에 해당 단어를 통해 선언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함. ※ 어떻게 아냐고? 이건 IDE에서 자동으로 색상으로 구분이 됨. 5. 식별자 : 이름을 붙일 때 사용하는 단어 → 키워드를 사용하면 안 된다. → 숫자로 시작하면 안 된다. → 특수 문자는 _와 $만 허용한다. → 공백 문자를 포함할 수 없다. → 클래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