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Engineer JungBam
로컬 스토리지, 세션 스토리지, 쿠키 본문
세가지 방법 모두 request에 따른 response 이후에 연결이 끊어지는 HTTP의 단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으나, 각각의 차이가 있다.
아래의 표로 간단하게 살펴보자.
구 분 | 웹 스토리지 | 쿠 키 | |
로컬 스토리지 | 세션 스토리지 | ||
특 징 | - HTTP 요청이 끝나더라도 서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저장소 역할을 함. | - 한 사이트당 4kb, 20개의 문자열 정보만 담을 수 있음. - 서버에 요청될때 무조건적으로 실려서 보내짐. |
|
- 영속성을 가져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유지가 됨. | - 기본적으로 쿠키 세션과 동일하게 브라우저를 닫으면 데이터가 지워짐. |
반응형
'개발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폰트 최적화하기 (0) | 2023.04.11 |
---|---|
html 시맨틱 요소로 작성하기(feat. inline요소) (0) | 2023.03.02 |
HTTP 메시지 (0) | 2023.02.23 |
HTTP 캐시, webpack 캐싱 (0) | 2023.02.23 |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 (0) | 2023.02.23 |
Comments